시사칼럼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칼럼


전체 9 건 - 1 페이지

無常한 세계에 솟는 無常한 산들

-난쟁이들이 사는 동네에서는 산이 보이지 않는다

청라 호수공원, 이하 2025년 7월 9일의 청라 호수공원 이미지들이다.      어려서 세상천지가 넓은 들뿐인 줄 알았다. 점차 셈드니 산도 보였다. 쓴 인생이 시작된 것이다. &nbs…

어머니는 어디에 계실까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뜰 시는 악기가 없는 음악이다. 시는 반주가 없는 음악이다. 음악에는 박자가 있고 리듬이 있다. 이 박자와 리듬이 원칙을 벗어나려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 시에는 사실 그럴만한 시간과…

‘진실’은 ‘알사탕’이다

-사진 : 정치산(위봉산성)

    가만히 생각해 보면 매사에 물론 ‘내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는 말은 맞는 말로 보인다. 그런데 더 가만히 생각해 보면 ‘내 생각이 맞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말이 더 사실에 가까울 수 있다. 세상 일에는 아무리 내가 옳다고 주장해 봐도 그…

바야흐로 봄바람은 불고 있다

당진군 송산면 삼산리 회화나무 밑   “얘야, 저기 저 관모봉 위에 울긋불긋한 것이 벌써 진달래냐“   “아이 엄니도 무슨 진달래가 벌써 피겠어요. 오늘 아침 애기씨가 빨간 블라우스를 찾더…

말 아닌 말을 자꾸 말이라 우긴다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자에는 ‘말’이라는 의미를 가진 글자들이 여럿 있다. 말이란 사람의 몸에서 입을 통해 밖으로 나오는 일종의 기운으로부터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그 사람의 기운에서부터 정신이나 철학적 사유까…

당신은 지금 황무지로 가는 열차에 탑승했다

  옳은 게 무어냐 없다. 틀린 게 무어냐 없다. 인간의 진정한 가치는 무엇이냐 모른다. 사회의 정의란 무엇이냐 개떡이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세상이 아리송해져 간다. 배운 대로 살다보면 억울한 일 천지이다. 게다가 배운 것조차 사기를 당했다는 것을 아는 순간…

한국시는 사기다

대중가요 가수들은 무대에 오르기 전에 부를 곡을 수백 번 연습한다고 한다. 아무리 자주 부르던 곡이라 해도 여러 번 연습을 하고 올라가야 실수를 덜하게 되고 자연스러워지기도 하겠고, 해서 대중들로부터 사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대중들로부터 사랑받기 위해 이런…

구절초는 어쩌다 피어 흔들릴까

-민주화공원에 잠든 장기표 선생

사진:편집부(민주화공원) 생전의 장기표 선생    강연 후 잡아본 김지하 시인의 손은 어머니 손처럼 따뜻했다. 행사 후 잡아본 김근태 의원의 손은 아이의 손처럼 부드러웠다. 김씨돌 병실에서 …

외국인 선교사만도 못한 한글정신

-사진:고나연 기자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에 있는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가면 우리 국어와 관련이 있는 특별한 선교사 한 사람이 묻혀 있다. 호머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는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에 국내에서 활동한 미국 감…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