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공식 명칭 ‘청라하늘대교’로 > 사회

본문 바로가기

사회


제3연륙교 공식 명칭 ‘청라하늘대교’로

본문

20250723_192606.jpg

아직 공사 중인 '청라하늘대교'

 

- 728일 인천시 지명위원회, 6개 후보안 지리·상징성·주민 의견 등 다각적 검토

- 향후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및 국가기본도 등재 예정

 

인천광역시는 728‘2025년도 제2차 인천광역시 지명위원회'를 개최하고, 시민들의 오랜 관심사였던 제3연륙교의 공식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3연륙교 명칭 제정은 지역사회의 깊은 관심을 받아 온 사안이다. 중구는 주민 선호도 조사를 거쳐 영종하늘대교’, ‘하늘대교를 제안했으며, 서구 역시 주민 선호도 조사를 거친 후 청라대교’, ‘청라국제대교를 제안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중립 명칭 공모와 선호도 조사를 거쳐 청라하늘대교’, ‘영종청라대교를 제출했다.

 

인천시 지명위원회에서는 제안된 총 6개 명칭안에 대해 지리적 특성 지역 상징성 지역주민 및 전문가 의견 향후 사용 편의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심도 깊은 숙의 끝에 청라하늘대교라는 명칭을 채택했다.

청라하늘대교는 중구와 서구 양측이 제안한 지역별 상징성을 결합해 청라하늘길이미지를 함께 담았다. 청라국제도시와 영종하늘도시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의 특성을 조화롭게 반영한 명칭이다.

 

향후 군·구에서는 위원회의 명칭 결정 통보 후 3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이의 제기가 없을 경우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의 고시를 거쳐 국가기본도와 지명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다. 이후 각종 지도, 내비게이션, 공공정보시스템 등에 정식 명칭으로 등재될 예정이다.

 

인천시 지명위원회에서는 지명은 단순한 명칭을 넘어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담는 중요한 자산이라며, “3연륙교 명칭에는 지역 간 상생과 도약을 이끌겠다는 시민 모두의 염원과 미래 비전이 담겨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명칭 결정 이후에도 이의가 제기될 경우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신중한 재심의를 통해 후속 행정절차를 철저히 이행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명칭 채택으로 제3연륙교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지역의 경계를 허물고 시민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연결의 상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723_192615.jpg

 

20250724_192659.jpg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