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권순
본문

저 귤은 돌이 되려 한다
마르고 쪼그라들더니
작고 단단한 돌이 되고 있다
온화하던 빛깔과 새콤함은
이제 상상만으로 음미해야 한다
몇 날은 수척해지는 데 몰두했고
들고 나는 숨을 닫아버리더니
딱딱하게 굳어져 갔다
염탐하듯 눌러보는 내 손가락을 밀어냈다
저 돌은 점이 되려 한다
물체에서 극단의 한 점으로
빛깔을 놓아주고
제 속으로 파고들어
긴 고통의 끝점으로 가려 한다
침묵 같은 단단함으로
빛깔과 향기를 속에 가두고
더는 호흡하지 않는다
아주 고요한
처음이 되고 있다
권순
2014년 계간 ≪리토피아≫로 등단, 시집으로 『사과밭에서 그가 온다』, 『벌의 별행본』이 있음.
그해 어버이날 즈음해서 찾아갔을 때 구순을 바라보던 엄마는 몸피가 확 줄어 있었습니다. 엄마 말로는 20키로 정도가 줄었다고 했습니다. 그날 2주 만에 몸을 추스르고 나앉았다는데 아프다가 말다를 반복한 건 좀 되었다고 했습니다. 큰 덩치는 아니었지만 늘 보아왔던 몸피가 아니어서 몸피가 줄어든 건 엄마가 굳이 말하지 않았어도 알 수는 있었습니다. 그리고 엄마는 줄어든 몸피로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길을 떠났습니다. 떠나기 몇 주 전에 곡기를 끊었으니 떠날 때 엄마의 몸은 그보다도 더 줄어있었을 겁니다.
생전의 “온화하던 빛깔과 새콤함”마저 다 “놓아주고” “닫아버리는” “들고 나는 숨”을 지켜보는 화자 옆에서 저도 한참 “숨”을 참고서 함께 머무르는데, “마르고 쪼그라들”며 “딱딱하게 굳어”진 “작고 단단한 돌”로서도 아니고, “마르고 쪼그라들”다 못해 “극단의 한 점”이 되어서야 가는 “아주 고요한/처음”의 세계가 문득 궁금해집니다. 결국에는 우리도 언젠가는 가야 하는 그 세계는 알 수도 없으며 온전하게 “상상”할 수도 없지만 확실한 건 분명 빈손이리라는 겁니다. 움켜쥐고 싶어도 더 이상 어떤 것도 움켜쥘 수가 없는 빈손입니다. /남태식(시인)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1
권순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