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자의 시간/김차영 > 시읽기

본문 바로가기

시읽기


광자의 시간/김차영

-김차영 시집 '댓글'에서 퍼옴

본문

20250914_123243.jpg자라섬

 

 


면사무소 직원의 입에서 노광자란 이름이 불려지면

칠순 때 처음 가본 제주도 같이 생경하다


용식이 며느리, 철환이 각시, 미자 엄니로

덧칠된 세월에

물설은 내 이름


장성해서 자식들 제 갈 길 가고

남겨진 반쪽마저 시름시름 가버린 뒤

노광자로 불리어진다는 건

오롯이 홀로 서야 한다는 것


이제는 광자의 시간


고생으로 가득한 속주머니 꺼내놓고

경로당의 친구들에게 초대장을 쓴다


초대합니당

노광자 82세 생일인디

실한 한우 등심으로다 준비도 했쓴께

같이 밥 한 끼 묵자

5월 8일 점심, 노광자 집으로 와

   

 

**

시에서 느끼는 감성은 읽을 때의 감정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어떻게 읽느냐는 태도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눈으로 읽을 때와 소리 내어 읽을 때가 다르고, 읽을 때와 필사할 때가 또 다릅니다. 읽을 때 저는 “장성해서 자식들 제 갈 길 가고/남겨진 반쪽마저 시름시름 가버린 뒤”에서야 “용식이 며느리, 철환이 각시, 미자 엄니로/덧칠된 세월에” 말 그대로 낯설고 서먹서먹해진 찾은 “이름”에 집중했었는데, 옮겨 적는 동안 갑자기 마음이 짠해졌습니다. “불리어진다는 건/오롯이 홀로 서야 한다는” 문장이 예사롭게 다가오지 않아서입니다. 그러니 어디 “물설은” 것이 “이름”만이겠습니까. 남은 세상사 어쩌면 이제부터 다 “물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니 ‘찾은’에 집중했던 생각이 갑자기 싹 사라졌습니다. 새삼 찾은 “이름”에 기쁨은 없고 서러움과 체념의 마음이 먼저 들어섰을 수도 있으니까요. 그래도 우리의 “노광자” 여사는 재빠르게 쓰잘머리 없는 마음 확 버리고 체제 전환을 하네요. “초대합니당” 그날 집을 나서는 분명 다들 잃었던 “이름”으로 다시 불려서 다시 “이름”을 찾았을 “경로당의 친구들”은 마음도 걸음도 가벼웠겠습니다. 어쩌면 바빴겠습니다./남태식(시인)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4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