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 / 송창현 > 시읽기

본문 바로가기

시읽기


감 / 송창현

본문

20250824_145016.jpg

 

 

마른 가지 위에 앉아 있는 가슴 두어 개

색 바랜 옷을 한 올 한 올 벗어던진다.

한겨울에 쭈그러진 젖을 다 드러내놓고

줄곧 높은 하늘에 가슴을 물리고 있다.

 

 

송창현

2021년 계간 리토피아로 등단, 시집으로 와락, 능소화』 『쇠똥구리 씨에게 말해야지가 있음.

 

 

늦가을에 감을 따면서 다 따지 않고 새들이 먹을 수 있도록 남겨두는 감을 까치밥이라고 합니다. 하고 많은 새들 중에 유독 까치를 앞세워 이름을 붙인 건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이왕이면 오는 김에 까치가 와서 좋은 소식까지 들려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어서일 수도 있습니다. 하니 까치밥은 까치가 와서 먹어줘야 제맛인데 오늘의 까치밥은 아무도 입 대지 않았나 봅니다. “한겨울까지도 고스란히 남아 마침내 쭈그러진영감으로 남은 걸 보면요. 한데 이 쭈그러진영감을 보고 시인은 하늘을 먹이는 으로 상상력을 확장시켰습니다. , 시인의 새로운 시선과 확장된 상상력에 절로 감탄이 터집니다. 이건 아름답습니다. 이건 읽는 이에게 또 다른 상상을 촉발하게 합니다. / 남태식(시인)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