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편집하다/ 신은하 > 시읽기

본문 바로가기

시읽기


나를 편집하다/ 신은하

본문

20250807060436_e980c78240575d39ee92effb871e56be_e3vo.jpg


길거리 분수대의 아이들처럼
흠뻑 젖은 채 웃으며 뛰놀았으면,
친구는 저만한 손주도 봤는데
나잇값을 해야지.
말도 안 되는 어떤 일
치미는 부아를 와락 쏟아버릴까.
돌아서면 후회할 텐데
품위를 지켜야지.
자질구레한 걱정 다 잊고 한 달쯤
아니 일주일도 많아
12일만 유람하면 좋겠지만
나 없는 자리 삐걱거릴까 봐 안 되겠다.
꿈과 이상도
살아남아야 싹 트는 법인데
어쩌려고 뻘 생각이냐고
색종이꽃 만들 듯 가위로 오려낸 동그라미
굴렁쇠처럼 굴리며 간다.
비틀거릴 때마다
좁은 모퉁이마다
걸리는 모서리 깎고 깎았더니,
작아진다.
작아진다.
한없이 작아진다.
 

 

 

신은하
2021년 계간 리토피아로 등단, 시집으로 엄마의 옛날 이야기가 있음.
 
누구라도 의지할 것이 있으면 그 누구는 그것으로 삽니다. 누구라도 즐길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그 누구는 그것으로 삽니다. “비틀거릴 때마다/좁은 모퉁이마다/걸리는 모서리 깎고 깎아서 작아지작아지한없이 작아지더라도 노골적으로 드러난 꽃의 마음을 읽으며 솔직함은 선명한 색(바람과 나)이라고 찬탄하면서 꽃의 웃음과 향기가 번지면” “꽃순(번지다)이가 되는 한 그 누구는 그것으로 잘삽니다. 위 시가 실린 시집 엄마의 옛날 이야기한 권의 대부분이 온통 꽃과 꽃의 마음으로 가득 차 있어서 하는 소리입니다.
 

저는 처음 들어보는 이름도 있는 데다가 상상으로 그리기조차 못하는 얼굴이 부지기수인데 해 바뀌고/어디서 누굴 만나도,/맑고 고운 얼굴에 번지는 웃음꽃(상봉)가득 피우는 이런 꽃들의 이름과 얼굴을 다 알아보면서 시시때때로 안부를 묻고 안부를 전하는 그 누구는 그러므로 그것으로 삽니다. “나잇값으로 접고, “품위로 접고, “유람마저 접어두고 오려낸 동그라미/굴렁쇠처럼 굴리편집을 하면서도 꽃의 이름을 부르고 꽃을 찾아 즐기며 잘삽니다. 그러니 뻘짓은커녕 뻘 생각만으로도 주눅 들어야 하는 일은 없습니다. 물론 나이도 없습니다. 되려 그리하여 그 누구는 꽃의 마음으로 인하여 커지고 커지고 더 커집니다. /남태식(시인)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8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1

이외현님의 댓글

profile_image
좋은 시 즐감하였습니다.
모서리 깎고 깎다 보면 점점 작아져서 한 점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 봅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