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짓말처럼/김상출 > 시읽기

본문 바로가기

시읽기


그짓말처럼/김상출

본문


20250425_161109.jpg

 

 

 

어지는 와 갱노당 안왔니껴
아이고 오만 삭신이 아파서리
오랜만에 남씨 할매가 왔드마는
남씨라니 누구 말이니껴
저기 거 곱작골 복판 골목에 사는
아니 거는 영감이 남씨잔이요
참 밸 거 가지고 따지운다 그기 그기지
그나저나 그 할매 맨날 아프다등만
글씨 영감 죽자 그짓말처럼 나삿다느만
오매 그랴 진짜루
글씨 그 할마씨가 신이 나서 야그하드만
우리 영감탱이 죽으모 나도 안 아플라나
아이구 참 밸소리 다하는구먼
거나 우리 영감이나 드러븐 성질 알자녀
아고 누가 들을라 무섭구만 왜이랴 자꼬
아녀 올 지늑부터 물 떠놓고 빌어바야제
허이 이 할마씨가 자꼬 와 이래쌀꼬
임자만 알고 이써 내가 그짓말처럼 낫거들랑
 
 - 시집 바보같이 2023
 
 
김상출
2011년 영주작가로 등단. 시집 아픈 손가락외.
 
 

 

웃자고 하는 말일까요. “임자만 알고 이써 내가 그짓말처럼 낫거들랑하고 꼭꼭 명토 박는 노파의 말을 듣자니 단지 웃자고 하는 말은 아닌 듯합니다. 예사로운가요. 칠순이 안 되어서 아직 경로당에 갈 처지도 안 되었는데 경로당에 갔다가 우연히 듣게 된 노파의 말에 가슴이 뜨끔하기라도 했을라나요, 말을 전하는 시인의 심사가 예사롭지만은 않습니다. 삼식이라고들 하나요. 세 끼 꼭꼭 챙겨 먹는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한 사내들을 이르는 말. 이건 사내들의 입장에서의 이야기이고, 저도 사내라서 들어 본 적은 없어도 밖에서 놀다가도 밥때가 되면 집에 돌아가 늙어서까지 제 밥 한 끼 안 차려 먹는 영감 밥 차려야 하는 노파의 입장에서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거나 우리 영감이나 드러븐 성질 알자녀새삼 부엌일 배워서 밥하고 국 정도는 끓여서 제 손으로 차려 먹는 정도는 바라지 않더라도 밥때 지났다고 바쁘게 들어오는 아내에게 드러븐 성질까지 부리는 영감을 보면 우리 영감탱이 죽으모 나도 안 아플라나안 그래도 온 삭신이 아픈 노파의 저런 심사가 이해가 안 되는 것도 아닙니다. “글씨 영감 죽자 그짓말처럼 나삿다느만죽고 난 뒤에도 이런 말 듣는다면 글쎄 저는 속이 안 편할 듯합니다만, 어떠신지요. 아직은 젊은 영감님들./남태식(시인)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