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섬/은정 > 시읽기

본문 바로가기

시읽기


낯선 섬/은정

본문

20250818_180602.jpg

 

 

동천의 한가운데 낯선 섬이 생긴다.

어느새 푸른 이끼와 풀들이 섬을 감고 섬을 이룬다.

 

주민은 왜가리 한 마리

그마저도 좁아서 맨날 다리 하나로 섬을 지킨다.

 

누추한 잿빛 두루마기 바람 깃 여미며 미동이 없다.

학보다도 더 흰 새 옷 한 벌 지어 입히면 학이 될까.

 

먼 산 바라보는 근엄한 눈이 가끔씩 물속에 번뜩인다.

 

아버지 흰 두루마기 동구 밖 어두운 길 학처럼 오시네.

어린 딸이 뜀박질로 마중을 간다.

 

 

은정

2017년 계간 리토피아로 등단, 시집으로 동천의 낯선 섬이 있음.

  

 

서른여덟에 혼자되어 일곱 남매 품어 안고어머니 세월을 움켜쥐(어머니의 은장도)고 사셨다고 하니, 딸인 시인은 철모르는 어린 시절에 아버지를 여의었겠습니다. 하니 흰 두루마기입고 동구 밖 어두운 길 학처럼 오시아버지뜀박질로 마중을 가어린 딸에 대한 서술은 어쩌면 시인의 어린 시절을 늘 감싸고 있었던 꿈이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형제자매가 여럿 있었더라도 어린 날부터 아버지 없이 마주한 시인의 세상은 오래 동천의 한가운데” “생긴” “처럼 낯설었겠습니다. 두 다리로 굳건하게 서서도 살아가기 벅찬 세상에 시인은 맨날 다리 하나로 섬을 지키왜가리마냥 서러웠겠습니다. 학보다도 더 흰 새 옷 한 벌 지어 입어도 이 되지 못하는 신세에 학처럼 오시아버지를 꿈꾸었겠습니다.

  

늦은 위로와 응원이지만, 이 꿈, 꿈에서만이라도 한 번쯤 이루었으면 좋겠습니다. / 남태식(시인)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