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빛으로! 시의 미래로! ‘서울, 세계 시 엑스포 2025’
-13개국 300여 명 참가, 하이브리드 세계 시 박람회
본문


한국시인협회(회장 김수복)은 서울시 ‘민간국제문화교류’ 지원 사업으로 오는 29일(수)부터 11월 1일(토)까지 4일간 국내외 시인 3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가하는 ‘서울, 세계 시 엑스포 2025’를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새천년관 우곡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다. 이번 대회에는 세계 13개국 시인과 번역가, 국내 문인, 서울 시민 등이 현장 무대와 화상(Zoom) 으로 동참해 시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한다.
개회식-시와 공연이 어우러진 축제
개막식(29일 오후 5시)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축사와 한국을 대표하는 연극배우 박정자, 박 지일의 시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동양과 서양의 시가 어우러지는 특별 공연이 펼쳐진다. 호적풍류, 해금산조, 성악을 중심으로 전통과 현대, 동서양의 조화를 이루는 축하 무대를 선보인다.이번 대회 취지인 “시의 빛으로! 시의 미래로!”를 형상화한 축하 영상과 시 낭송을 통해 한국 시문학이 지닌 세계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국제 페스타-시와 인간·평화·빛·미래
30~31일에는 ‘서울, 세계 시 엑스포 2025’의 핵심 프로그램인 페스타가 4개 장으로 진행된다. 이 자리에서 각국 시인들은 시가 단순한 개인의 고백을 넘어 시대의 기억을 환기하고, 공동체의 미래를 성찰하는 공적 장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일깨운다.
각 페스타는 낭송과 퍼포먼스, 주제발표, 번역의 목소리를 아우르는 다층적 프로그램으로 구성 함으로써 국내외 시인과 관객이 함께 호흡하는 살아있는 축제를 만들 계획이다.

첫 번째 페스타는 ‘시와 인간’이라는 주제로, 인간 존재의 내밀한 풍경을 시적 언어로 비추며, 언어가 어떻게 인간을 위로하고 변모시키는지를 탐구한다.
두 번째 페스타는 ‘시와 평화’를 주제로 분열과 폭력의 시대에 시가 평화의 언어를 어떻게 생산할 수 있는지 모색하며, 갈등과 대립을 넘어 공존의 담론을 열어가는 시의 길을 제시한다.
세 번째 페스타는 ‘시의 빛으로’를 주제로, 어둠 속에서 던지는 시의 빛을 조명하고, 예술적 상상력이 구현하는 ‘빛의 언어’를 통해 공동체의 미래를 희망과 비전의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네 번째 페스타는 ‘시의 미래로’라는 주제로, 디지털 시대와 글로벌 네트워크 속에서 시가 열어갈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다음 세대의 시’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 논의를 번역 문제와 함께 살펴본다.
이들 페스타에서는 잭 마리나이(미국), 팔 다니엘 레벤테(헝가리), 응우옌 티히엔(베트남), 사가와 아키(일본), 김상호(한국·대만) 등 해외 저명 시인과 국내 시인들이 주제발표와 자작시 낭송을 통해 시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모색하고 시의 보편적 가치와 다채로운 목소리를 공유한다.
폐막식과 서울 문학기행
31일(금) 오후에는 참가자들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서울 문학기행을 함께 즐기며 한국의 전통과 문화적 교감을 갖는다. 이날 폐막식에서는 국내외 시인의 합동 낭송회와 축하 공연이 진행된다.
on-offline 해외 초청 시인

‘서울, 세계 시 엑스포 2025’ 기념 서울시집 『시의 낙원』 연간사화집 『빛의 안부』 간행
이번 ‘서울, 세계 시 엑스포 2025’를 기념하여 한국 대표 시인들이 서울의 문화와 공간을 시에 담은 서울 테마 시집 『시의 낙원 』과 특별기획으로 국내외 시인 461명이 ‘인간’, ‘평화‘를 주제로 쓴 시를 모은 사화집 『빛의 안부』 가 출간됐다. 특히 서울 테마 시집 『시의 낙원』은 허영자 신달자 시인을 비롯한 102명의 시인들이 한강, 광화문, 북한산, 고궁 등을 시적 감수성으로 승화시킨 매우 흥미로운 시작품들로 꾸며졌다. 연간 사화집 『빛의 안부』는 매년 발간되는 작품집으로, 이번에는 엑스포의 의미를 회원들의 시로 새긴 사화집이다.
시의 날 기념식과 시민 참여
11월 1일(토) 시의 날 기념식에서는 ‘시의 날 선언문’을 낭독하며, 시인 22명이 무대에 올라 자유 낭송을 펼친다. 재능시낭송협회 시낭송가들은 김남조 시 ‘시인 만세’, 유치환 시 ‘행복’을 합송하며 한국시의 저변확대와 시민 참여 등 이번 세계 시 엑스포의 정신을 드높인다.
해외 시인·번역가와 함께하는 국제적 교류
이번 대회에는 해외 시인들과 번역가들이 화상(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참여한다. 번역가들의 시 낭송, 서울 명소를 배경으로 한 특별 시 낭송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대회의 의의
김수복 한국시인협회장은 “이번 ‘서울, 세계 시 엑스포 2025’는 시라는 인류의 보편 언어를 통해 경쟁과 갈등을 극복하고 평화와 공존의 세계를 열자는 데 그 의의가 있다”며 “시와 언어가 국경을 넘어 세계를 하나로 잇고, 서울이 세계문학의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