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신문리 고택' 인천시 등록문화유산으로 고시 > 주요뉴스

본문 바로가기

주요뉴스


'강화 신문리 고택' 인천시 등록문화유산으로 고시

-인천광역시 9월 22일 고시

본문

안채 전경-20.jpg안채 전경

 

1928년에 건립된 신문리 고택은 전통 한옥 구조에 일본식과 서양식 건축 요소가 함께 반영된 독창적 형태의 개량한옥이다. 색유리 창호와 헤링본 마루는 영국 성공회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대규모 2층 다락은 당시 강화도의 인삼·직물 산업의 활기를 보여준다. 또한 출입문과 창호의 세련된 장식성은 근대 건축의 새로운 미감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다.

 

특히, 194611월 백범 김구 선생이 강화도를 방문해 신문리 고택에서 기념사진을 남긴 기록은 이 고택이 지역의 역사와 기억을 간직한 상징적 장소임을 보여준다.

 

인천시 문화유산위원회는 신문리 고택은 전통과 근대가 조화를 이룬 건축미와 강화 산업·생활사의 흔적, 김구 선생의 방문 기록이라는 역사성을 품고 있는 여러 요소들을 고려해 등록문화유산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인정했다.

 

이번 등록은 개발행위 규제가 최소화된 등록문화유산 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다. 등록문화유산은 생활공간 활용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보존을 실현할 수 있어, 시민 불편을 줄이고 문화적 가치를 함께 지켜낼 수 있다.

 

인천시는 등록문화유산 제도를 기반으로 시민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문화유산 행정을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강화 신문리 고택은 안채는 갤러리, 바깥채와 공장채는 카페·기념품 판매소·관광안내소 등으로 운영돼, 지역사회와 방문객이 함께 향유하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윤도영 시 문화체육국장은 강화 신문리 고택은 인천의 한 세기를 담은 소중한 자산이자, 일상 속에서 살아 있는 문화유산이라며, “앞으로도 근현대 문화유산의 발굴과 보존을 적극 추진하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유산 정책을 통해 인천의 역사적 가치와 정체성을 널리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부엌-20.jpg부엌

 

건넛방 및 누마루-20.jpg건넛방 및 누마루

 

부엌 위 다락-20.jpg부엌 위 다락

 

색유리창호 및 헤링본 마루-20.jpg색유리창호 및 헤링본 마루

 

 

앞마당 우물-20.jpg앞마당 우물

 

바깥채 전경(배면)-20.jpg바깥채 전경(배면)

 

바깥채 전경(정면)-20.jpg바깥채 전경(정면)

 

바깥채 상량문-20.jpg바깥채 상량문

 

공장채 전경-20.jpg공장채 전경

 

공장채 내부-20.jpg공장채 내부

 

김구 선생 방문 기념사진-20.jpg김구 선생 방문 기념사진

 

인천광역시 등록문화유산 등록 고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39,인천광역시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조례35조에따라 다음과 같이 인천광역시 등록문화유산 등록을고시합니다.

 

2025922일 인천광역시장

 

1. 고시명 : 인천광역시 등록문화유산 등록 고시

2. 고시내용

. 등록대상 문화유산

명칭

수량

규모

건립연대

소재지

소유자

강화 신문리 고택

3

연면적 240.75

(각 지상1)

1928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문안길 7

개인

(○○)

 

. 등록 사유

강화 신문리 고택은 일제강점기 시절인 1928년 한옥, 일본식 및 서양식을 혼합하여 건축한 주택으로, 본 고택의 가장 큰 특징은큰 규모의 2층 다락(6칸의 상당한 크기로 인삼 및 소창[직물] 등을 말리고 보관하는 장소로 사용되어 당시 강화도의 인삼 및 직물 산업의 번성기를추정할 수 있음), 다락 외부에 설치된 난간(다락 창호와 함께 가옥 전체의 인상을 크고 화려하게 부각), 출입문 및 창문에 설치된 요철또는 에칭 처리된 색유리, 대청마루 및 누마루에 설치된 헤링본마루에 있음.

당시 강화도에 종교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친 영국 성공회의 영향을받은 것으로 보이며, 당시 주택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희소성 있는특징으로 현재까지도 원형 보존이 잘 되어 있음.

194611월 백범(白凡) 김구 선생이 강화도 방문 시 신문리 고택을방문하여 지역 유력 인사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은 것으로 보아 당시 강화를 대표하는 가옥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음

전통 한옥 구조에 서양식 마감재(색유리, 헤링본 마루)를 사용한 희소성, 큰 규모의 다락에 창호와 난간을 설치한 장식성 등 건축적으로 다른 개량한옥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 있으며, 백범김구 선생이 방문한 기록이 있는 역사성 등을 종합 고려 시 인천광역시 등록 문화유산으로 등록할 가치가 있음

3. 등록일자 : 시보 고시일

4.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천광역시 문화유산과(032-440-4034)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noname01-20 복사.jpg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신문'통' 기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4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